세상이야기

美 미사일전문가 "北, ICBM에 앞서 핵EMP 공격 선택할 것"

청 설모 2017. 6. 10. 23:31

미사일전문가 ", ICBM에 앞서 핵EMP 공격 선택할 것"

                                                                                                                            송고시간 | 2017/06/09 23:32

"직접적인 미사일보다 기술부담 적어"

(뉴욕=연합뉴스) 이준서 특파원 = 북한 김정은 정권이 핵 도발을 감행한다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같은 직접적인 타격보다는 전자기탄(EMP)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미국에서 나왔다.

'EMP'는 핵탄두를 공중에서 폭발시켜 해당 지역의 전력 회로망과 컴퓨터망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전자장비를 파괴하거나 마비시킬 수 있는 강력한 전자파를 순식간에 분출하는 무기이다. 파괴력은 수백이상 떨어진 곳의 지하 케이블도 손상할 정도로 엄청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핸리 쿠퍼 전 전략방위구상(SDI) 국장은 9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 "북한이 미국 본토에 핵 공격을 가하는 데에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일반적 통념이지만, 미국과 핵전쟁을 일으키겠다는 북한의 바람을 결코 축소 평가하거나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의 위험은 남한, 그리고 약 28천 명의 주한미군에게는 직접적"이라며 가장 가능성 큰 공격 형태로 EMP탄을꼽았다.

 

쿠퍼 전 국장은 "미국 의회 EMP위원회 조사를 통해 2004년 러시아의 EMP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불과 몇 년이면 북한이 EMP 기술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EMP는 상대적으로 정확성의 부담이 적고, 대기권 재진입 기술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북한으로서는 완벽한 미사일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쿠퍼 전 국장은 "김정은 정권은 첫번째 공격수단으로서 직접적인 핵미사일보다는 핵 EMP탄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냉전 시절인 1962년 미국이 태평양 상공에서 일명 '스타피시 프라임' 핵실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EMP가 발생해, 1400이상 떨어진 하와이의 전기시스템이 마비된 사례도 거론했다.

조지 H.W. 부시 행정부에서 '스타워즈(별들의 전쟁) 구상'을 진두에서 지휘했던 핸리 쿠퍼는 미사일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j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7/06/09 23:32 송고


-----------------------------------------------------------------------------------------
美 전 중앙정보국 국장 “북 핵 EMP 공격땐 미국인 90% 사망”

소형 핵무기 위성으로 날릴 수 있다 VS 무력카드 포함한 모든 옵션 고려중
                                                                                                                             이성민 기자 


[홍익/통일/역사=플러스코리아 이성민 기자] 미국의 전 중앙정보국 국장이 '북한의 핵 공격으로 미국인의 90%가 사망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증언을 하며 미 정부에 경고하고 나섰다.
 
제임스 울시 전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북은 미사일은 물론 선박, 항공기를 이용해 핵 공격을 단행할 수 있다”며 “미국인 90%의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는 핵 전자기펄스(EMP) 사용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29일(현지시각) 증언해 상황심각성을 강조했다
 
북한의 6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는 핵을 동원한 북한 선제타격 등 강경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 의회 차원에서도 초당적 법안과 의결안을 동시에 쏟아내며 대북제재 강화의 고삐를 당기고 있다.
 
울시 전 국장은 북한의 미 본토를 겨냥한 핵위협과 관련, 핵탄두 소형화나 대기권 재진입체 등의 기술적 과제를 쉽게 극복할 수 있다면서 제3국 선박이나 테러리스트를 고용하는 방법도 거론했다.
 
그는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뉴욕과 뉴올리언스,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등 주요 항구 도시와 멕시코 국경지대의 샌디에이고, 피닉스, 오스틴, 산타페 등 대도시들은 극도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울시 전 국장은 핵탄두를 공중에서 폭발시켜 전력 회로망과 컴퓨터망 등 전자장비를 파괴ㆍ마비시키는 전자파를 분출하는 핵 EMP와 관련, “북한의 위성 핵탄두 한발이면 국가전력망과 핵심 기간시설들이 1년 이상 마비되면서 미국인 10명 중 9명이 기아와 사회붕괴로 사망한다”고 경고했다.
 
울시의 이런 경고는 북-미 핵전쟁의 참화를 막을 수 있는 북-미 평화협정의 절박성을 방증해준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28일 함북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인공위성 사진 분석 결과, 지원단지에 70∼100명이 모여있는 장면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울시 전 국장의 발언은 북한 핵 위협 심각성에 경종을 울리면서 강력대응을 촉구하는 취지로 풀이된다.
 
그는 “북한의 위협에 맞서 미국인을 보호할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시급하고 임박했다”면서 “미국은 핵무기를 포함해 필요한 어떤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북한을 선제타격할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 정부도 대북 선제공격 등 무력카드를 포함한 모든 옵션을 고려중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카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미국의소리(VOA)와의 통화에서 대북 선제공격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에 “전략적 인내 정책은 끝났다. 새로운 외교, 안보, 경제조치를 강구하고 있다”면서 “모든 옵션이 테이블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 의회 차원에서의 대북압박도 강화되고 있다.
 
미 하원 외교위원회는 이날 북한 국외노동자 고용 외국기업을 직접 제재하는 내용 등이 포함된 ‘대북 차단 및 제재 현대화법’과 ‘북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법안’, 그리고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규탄 결의안’ 등 북한 관련 2건의 법안과 1건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처리했다.
 
북한의 핵실험 및 ICBM 발사 등 추가 도발시 확실한 대가가 뒤따를 것이라는 경고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기사입력: 2017/03/30 [18:31]  최종편집: ⓒ pluskorea


-----------------------------------------------------------------------------------------